청년들의 자산 형성을 돕기 위해 출시된 청년도약계좌와 청년희망적금! 두 상품 모두 매력적인 혜택을 제공하고 있어 많은 관심을 받고 있는데요. 그렇다면 이 두 상품 중 하나를 선택해야 할까요? 아니면 중복 가입도 가능할까요? 또 혹시 불리한 상품에서 더 나은 상품으로 갈아탈 수도 있을까요? 오늘은 청년도약계좌와 청년희망적금의 중복 가입 가능 여부와 갈아타기 조건을 살펴보고, 두 상품의 혜택도 비교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중복 가입 가능 여부
안타깝게도 청년도약계좌와 청년희망적금은 중복 가입이 불가능합니다. 두 상품 모두 만 19세부터 34세까지의 청년이 가입할 수 있는 상품이지만, 한 사람이 두 상품을 동시에 가입하는 것은 허용되지 않습니다.
- 청년도약계좌를 가입한 경우, 청년희망적금 가입 불가
- 청년희망적금을 가입한 경우, 청년도약계좌 가입 불가
유사한 성격의 상품이기 때문에 중복 혜택을 제한하는 것으로 보이는데요. 본인에게 더 유리한 조건의 상품을 선택해서 가입하는 것이 좋겠죠.
갈아타기 가능 여부
그렇다면 이미 한 상품에 가입한 상태에서 다른 상품으로 갈아타는 것은 가능할까요? 결론부터 말씀드리면, 갈아타기는 가능합니다. 단, 약간의 조건이 있습니다.
청년희망적금에서 청년도약계좌로 갈아타기
- 청년희망적금 가입 후 1년이 지나지 않은 시점에서만 청년도약계좌로 전환 가능
- 청년도약계좌의 가입 요건을 충족해야 함 (소득요건, 납입한도 등)
- 전환 시 청년희망적금의 계약은 해지되고, 새로운 청년도약계좌 계약이 성립
청년도약계좌에서 청년희망적금으로 갈아타기
- 청년도약계좌에서 청년희망적금으로의 전환은 불가능
- 청년도약계좌를 해지하고 청년희망적금에 새로 가입하는 것은 가능
갈아타기에는 제한이 있으므로, 가입 시점에서 신중하게 상품을 선택하는 것이 좋겠네요.
혜택 비교
청년도약계좌와 청년희망적금은 어떤 점이 다를까요? 두 상품의 주요 특징을 비교해 보겠습니다.
구분 | 청년도약계좌 | 청년희망적금 |
---|---|---|
가입대상 | 만 19세 이상 34세 이하 | 만 19세 이상 34세 이하 |
소득요건 | 근로/사업소득 있어야 함 | 소득 제한 없음 |
계약기간 | 2년 이상 | 1년 이상 |
납입방법 | 자유적립식 | 자유적립식/정액적립식 |
납입한도 | 월 50만원 | 월 70만원 |
정부지원 | 근로소득장려금 지원 | 저축장려금 지원 |
이자율 | 연 2.5~4% | 연 4.5~5% |
세제혜택 | 비과세 | 비과세 |
두 상품 모두 적극적인 정부 지원과 높은 금리, 세제혜택 등 매력적인 조건을 갖추고 있습니다. 다만 청년도약계좌는 2년 이상 가입해야 하고 매월 근로소득장려금을 받을 수 있다는 점, 청년희망적금은 가입 기간이 1년으로 좀 더 짧고 월 납입 한도가 높다는 점이 차이라고 할 수 있겠네요. 본인의 소득 수준과 저축 여력, 자금 운용 계획 등을 고려해서 선택하시면 될 것 같아요.
청년도약계좌와 청년희망적금, 지금 청년들에게는 정말 매력적인 금융 혜택이 아닐 수 없습니다. 자신에게 맞는 상품 하나를 잘 선택해서 가입한다면 큰 도움이 될 거예요. 꾸준한 저축을 통해 미래를 준비하는 젊은 세대가 되길 바랍니다. 중복 가입은 안 되지만 그만큼 두 상품 모두 매력만점이니까요! 청년 여러분의 희망찬 도약을 응원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