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년 12월 3일 선포된 윤석열 대통령의 비상 계엄령 선포와 12월 4일 계엄령이 해제되기까지의 일들을 시간 흐름별로 상황을 기록해 봅니다.
윤석열 대통령 비상 계엄령 선포 및 해제 시간별 흐름
1. 2024년 12월 3일 10시 23분경 윤석열 대통령 긴급 담화를 통해 비상계엄령 선포
비상 계엄령 선포 영상 바로가기
계엄령 내용 요약
“파렴치한 종북 반국가세력들을 일거에 척결하고 자유 헌정 질서를 지키기 위해 비상계엄을 선포합니다.”
“사법 업무를 마비시키고 행안부 장관 탄핵, 방통위원장 탄핵, 감사원장 탄핵, 국방장관 탄핵 시도 등으로 행정부마저 마비시키고 있습니다.”
- 비상 계엄령 공식 선포
- 주요 도시, 특히 서울 여의도 국회 주변 계엄군 배치
- 언론 통제 시작, 일부 시민의 SNS 활동 제한
2. 22시 42분 민주당, 국회 긴급 소집
3. 22시 57분 국회 경비대 국회 출입 통제
4. 23시 담화문 전문 언론 배포, 국민의힘 의원총회 소집
5. 23시 4분 국회 출입문 폐쇄
6. 23시 25분 계엄 사령관에 육군 대장 박안수 육군 참모총장 임명
7. 23시 27분 계엄 사령부 포고령 제1호 23시부로 발표, 일체 정치활동 금지, 모든 언론과 출판 통제
8. 2024년 12월 4일 0시 7분 계엄군 국회 경내 진입
9. 0시 22분 계엄군 국회 본청 출입문 봉쇄
10. 0시 35분 우원식, 국회 본회의장 의장석 착석
11. 0시 45분 계엄군, 유리창 파괴 후 국회 본청 진입
12. 0시 49분 국회 본회의 개의
13. 1시 1분 ‘비상계엄 해제 요구 결의안’ 국회 본회의 가결
재석 190인 중 찬성 190인 (야당의원 172명, 국민의힘 친한계 의원 18명)
계엄령 해제 후 이재명 인터뷰
계엄령 해제 후 한동훈 발표
14. 2시 1분 우원식 국회의장 “윤 대통령, 국방부에 계엄해제 요구 통지 보내”
15. 4시 22분 합동참모본부, 비상계엄 투입 병력 원소속 부대 복귀
16. 4시 27분 윤 대통령, 생중계 담화 통해 비상계엄 선포 해제, 군 설치 계엄사령부 해체
윤대통령 생중계 담화 내용 보기
17. 4시 30분 정부, 국무회의 열어 ‘계엄 해제안’ 의결 발표
계엄령이 부동산과 증시에 미치는 영향
✅ 그 외 비상 계엄령과 관련된 상식들
👉 국내 해외 비상 계엄령 선포의 역사와 배경
👉 비상 계염령 뜻과 개념, 선포되면 무슨일이 벌어질까?